1. 고혈압의 정의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으로 고혈압은 혈압이 정상보다 높은 상태이다.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고혈압의 원인은 수면무호흡증, 약물, 만성신장질환, 알도스테론증, 신혈관성 질환, 쿠싱신드롬 또는 스테로이드 요법, 크롬친화성세포종, 대동맥 흡착증, 갑상선/부갑상선질환 등에 의해 발생한다. 고혈압의 증상은 흔히 증상이 없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울혈성심부전, 신부전, 심근경색, 뇌졸중, 동맥류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고혈압의 분류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일차성 고혈압은 명확한 원인이 없다. 이차성 고혈압은 질환에 의해 고혈압이 발생한 것으로 신장질환, 대동맥협착, 갈색종(크롬친화성세포종), 쿠싱증후군,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및 수면무호흡에 의해서 발생한다.
3.고혈압의 치료
고혈압의 치료 목적은 심혈관질환과 신장질환 위험과 혈압을 낮추는 것이다. 치료 방법은 체중감량, 신체활동 증가, 영양치료, 약물치료를 병행한다.
1) 영양치료
영양판정 : 환자의 알코올, 나트롬, 칼륨, 칼슘, 식이섬유소의 섭취를 평가한다.
영양진단 : 고혈압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영양문제는 열량의 과다 섭취, 과다 또는 불균형한 지방 섭취, 나트륨 과다 섭취, 부족한 칼슘, 식이섬유소, 칼륨, 마그네슘의 섭취, 과체중/비만, 식품 및 영양에 관한 지식 부족, 신체활동의 부족 등이다.
영양중재 : DASH식사법, 체중감량, 소금, 음주, 칼륨, 칼슘, 마그네슘, 신체활동, 금연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DASH 식사법은 나트륨, 포화지방, 알코올의 섭취를 줄이고, 칼슘과 칼륨, 마그네슘, 식이섬유소의 섭취를 증가하는 식사법이다. 곡류는 주요 에너지원이자 식이섬유소 공급원으로 7~8회 적당히 섭취한다. 채소 과일은 칼륨, 마그네슘, 식이섬유소가 풍부하므로 4~5회 충분히 섭취한다. 유제품은 칼슘과 단백질의 주요 급원으로 2~3회 저지방으로 충분히 섭취한다. 육류, 가금류, 어류는 붉은 살코기는 적게 섭취하고 껍질을 제거한 닭고기, 생선류는 충분히 섭취한다. 견과류, 씨앗류, 건조콩류는 마그네슘, 칼륨, 단백질, 식이섬유소가 풍부하므로 적당히 섭취한다. 유지류, 당류는 지방함량이 낮은것으로 적당히 섭취한다. 나트륨과 알코올 섭취를 줄이는 것 뿐 아니라 신체활동의 증가, 금연, 체중감량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