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너지 균형
에너지 균형은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이 같은 것을 의미한다. 에너지 섭취는 식품에 함유된 당질, 단백질, 지질, 알코올을 bob calorimeter를 이용하여 태워 유리되는 열에너지로 측정하였고 사용하기 쉽게 각각 어림수인 4, 4, 9, 7kcal로 표기하였으며, 해당 영양소를 함유한 식품의 양(g)을 각각 곱하여 계산한다. 에너지 소비는 하루 소비되는 총 에너지량을 24시간 에너지 소비량 또는 총 에너지 소비량 이라고 한다. 에너지 소비에는 기초대사량이라고도 하는 휴지에너지소비량(REE, resting energy expenditure), 식품이용을 위한 에너지소비량(TEF, thermic effect of food), 신체활동 에너지소비량(PEE, physical activitiy-related energy expenditure)이 있다. 첫째, 휴지에너지소비량(REE, resting energy expenditure)은 총 에너지 소비량의 60~75%에 해당하며 생체의 매우 중요한 기관(심장, 폐, 뇌, 간, 신장 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이다. 둘째, 식품이용을 위한 에너지소비량(TEF, thermic effect of food)는 총 에너지 소비량의 10%에 해당하며, 음식에 함유된 영양소의 소화, 흡수, 대사 및 저장하는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을 말한다. 섭취한 음식물의야이나 단백질에 영향을 받는다. 셋째, 신체활동 에너지 소비량(PEE, physical activity-related energy expenditure)은 총 에너지 소비량의 20~25%에 해당하며, 체중이 클수록, 신체활동에 사용되는 근육량 및 신체활동 강도 및 횟수 기간 등에 영향을 받는다.
2. 에너지요구량의 측정
1) 방정식의 이용
-해리스-베네딕트 : 기초대사율(BMR)을 사용하여 일일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남성의 경우 66.5 + (13.75 x 체중 kg) + (5.003 x 신장 cm) - (6.75 x 연령), 여성의 경우 655.1 + (9.563 x 체중 kg) + ( 1.850 x 신장 cm) - (4.676 x 나이)로 구 할 수 있다.
-1일 에너지 필요 추정량(EER) : 성인의 총 에너지 요구량은 에너지 소비량과같다. 남성의 경우 662 - 9.5 x 나이 + PA x (15.91 x 체중 + 539.6 x 신장), 여성의 경우 354 - 6.91 x 나이 PA x (9.36 x 체중) 으로 구 할 수있다.
2) 간접적 열량측정법
신체의 산소 소모량과 이상화탄소 배출량으로 측정한 것을 기초로한다.
3) 이중 동위원소 수분측정법
이중 동위원소로 표지된 물을 이용하여 시험대상자가 이 물을 마시면 신체 내 물과 혼합되어 체내에서 천천히 제거되며 체내의 동위원소 제거율이 측정되면 에너지 요구량이 계산된다.
4) 직접적 열량측정법
챔버에 직접 대상자가 들어가서 신체로 부터 발열, 대류 및 복사되는 열의 양으로 총 에너지 소비량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다.